1. 우울증 약물치료란?
우울증은 단순한 기분 저하가 아닌, 뇌의 신경전달물질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의학적 질환입니다. 이러한 화학적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항우울제입니다. 약물치료는 심리치료와 병행할 때 가장 높은 회복 효과를 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약물 복용을 두려워하지만, 항우울제는 중독성이 없으며 의학적으로 안전한 치료법입니다.
2. 항우울제의 주요 종류
항우울제는 작용 기전과 부작용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환자의 상태와 동반 질환에 따라 적합한 약을 선택하게 됩니다.
- SSRI (플루옥세틴, 세르트랄린 등): 부작용이 적고 가장 많이 처방.
- SNRI (벤라팍신, 둘록세틴): 통증 동반 우울증에 효과적.
- NaSSA (미르타자핀): 불면·식욕저하 개선.
- TCA (아미트리프틸린): 오래된 약물이지만 중증 우울증에 사용.
- MAOI: 음식 상호작용 주의 필요.
3. 항우울제의 작용 원리
항우울제는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등의 농도를 조절하여 감정 조절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SSRI는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해 뇌 내 농도를 높이고, SNRI는 두 가지 신경전달물질을 함께 조절합니다.
4. 주요 부작용과 대처법
- 소화불량: 식후 복용으로 완화.
- 불면: 복용 시간 조절.
- 성기능 저하: SSRI에서 흔하며 약물 교체로 개선.
- 체중 증가: 식습관 조절 필요.
5. 복용 시 주의사항
- 효과는 2~4주 후 나타남.
- 임의 중단은 금지.
- 음주·진통제 병용 주의.
- 자살 충동 발생 시 즉시 상담.
6. 자주 묻는 질문
Q1. 평생 복용해야 하나요?
대부분 증상 완화 후 서서히 감량합니다.
Q2. 인격이 변하나요?
약물은 감정 조절을 돕는 역할로 성격 변화는 없습니다.
7. 참고문헌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의학 교과서』 (2023)
- NIMH,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Medication” (2024)
- WHO, “Depression: Global Health Estimates” (2023)
- APA,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2022)